본문 바로가기
교육이야기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by 굑학 2023. 6. 15.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확장시켜서 성인까지 확대한 이론이다. 1956년부터 미국 아동, 청소년, 중류층 남자들 75명을 대상으로 하인츠와 약사의 도덕적 갈등의 상황 즉 하인츠가 아픈 아내를 위해 약을 훔치는 것이 정당한지를 들려준 다음 도덕성에 대한 반응을 조사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덕성 발달이론을 정립하였다.

 

<기본개념>

콜버그는 인간은 나이가 들면서 인지능력이 발달하고 사회적 경험이 풍부해져서 도덕성 발달 수준이 단계적으로 발달한다고 하였다. 

<도덕적 판단력 단계별 특징>

1) 전인습 수준

  • 1단계 - 벌과 복종의 단계 (3~7세) : 규칙에 대한 개념이 없으며 행위의 옳고 그름을 그 행위의 결과에 의해 판단한다. 하인츠의 행동이 처벌받지 않으면 그 행동은 옳다고 생각한다.
  • 2단계 - 도구적 목적과 교환의 단계 (8~11세) :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 없는지가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되어 자신에게 이익이 있을 때 규칙을 준수한다. 하인츠의 행동이 아무리 나빠도 나에게 이익이 되면 그 행동은 정당하다고 생각한다.

2)  인습 수준

  • 3단계 - 대인관계 조화 지향 (12~17세) : 다른 사람을 도와주고 기쁘게 해 주며, 대인관계 조화를 위한 도덕성 옳은 행동은 타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기대에 맞게 행동한다. 하인츠의 행동에서 약사와의 관계를 중시하면 나쁜 것이고 아내관계를 중시하면 타당하다. 
  • 4단계 - 법과 질서 지향 (18~25세) : 옳은 행동이란 사회 질서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의무를 다하는 것으로 법과 사회질서를 중시하고 예외가 있을 수 없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하인츠의 약 훔친 것은 정당화가 안되며 벌을 받아야 된다고 생각한다. 

3) 후인습 수준 

  • 5단계 - 사회 계약 지향 (25세~ ) : 도덕성 법과 질서가 무조건 옳은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유용성에 따라 합의에 이르게 되면 바뀔 수 있다. 즉 합리성에 따라 법이 바뀔 수 있음을 인정한다. 하인츠의 행동은 특수한 상황에서 약을 훔친 것으로 훔친 것은 정당화된다. 
  • 6단계 - 보편적 도덕원리 지향 (나이 X) : 도덕적 원리에 따라 스스로 선택한 양심적인 행위가 올바른 행위로 본다. 약 훔친 건 생명을 위한 것이므로 정당화되지만  벌을 받는 것도 고려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콜버그 도덕성 발달단계 보기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

학교는 도덕적 판단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교육을 해야 하며 갈등이 있는 문제를 제시해 타인과 도덕적 견해를 비교해 보고 인지적 불균형을 초래해 도덕적 추론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토론 및 역할놀이 수업을 중시해야 한다.

우리나라 도덕 교육은 지필평가를 기준으로 하여 실제로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지는 파악이 안 된다. 따라서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고려한 새로운 도덕교육을 추진해야 한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단점>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높다고 해서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 아니며 청소년기의 도덕성 발달에 대한 설명이 어렵고 서구사회에서의 도덕적 사고가 모는 문화권에 통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성의 도덕성 발달단계는 적절하지 못하다. 

 

<2002년 초등 임용 문제 >

한 남자의 부인이 죽어가고 있었다. 부인을 살릴 수 있는 약은 있지만 너무 비싸고, 그것을 조제한 약사가 싼 가격에 약을 팔려고 하지 않았다. 어쩔 수 없어 남자는 그 약을 훔치려고 계획하였다. 이행위가 정당한가?
-> 아동의 대답 : 만일 남자가 약을 훔친다면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렇게 하면 경찰에게 잡혀서 감옥에 갈것이기 때문이다.

-> 처벌 복종지향 단계 

 

<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의 평가>

콜버그의 도덕발달 이론은 인지발달 이론에 기반하여 도덕 사고 단계가 인지 발달 수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등장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언급했듯이 문화권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후인습적 사고 단계에 간해서는 문화권에 따른 상당한 차이가 보고 되고 있다. 또한 남자 아동을 중심으로 개발된 이론은 남성 중심적이며 이와 관련된 길리건(Carol Gilligan)은 남아와 여아는 다른 사회와 과정을 겪기 때문에 남자아이들은 정의와 권리를 강조하는 반면 여자아이들은 연민, 의무, 보살핌을 강조한다고 주장했다. 

도덕성 발달 이론은 인지, 사회, 정서 발달이 통합된 이론으로 발전했으며 도덕성을 이해하려면 세 가지 요소를 포괄적으로 이해한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