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야기

마샤(Marcia)의 자아 정체감 유형

by 굑학 2023. 6. 14.

마샤의 자아정체감 유형은 에릭슨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직업이나 이념에 관해 발달하는 시기로 본 것을 근거하여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정체감 유형을 위기(탐색)와 참여(수행)의 두 가지 질문의 답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한 이론이다.

 

<정체감 유형을 구분하는 두 가지 질문>

1) 위기(탐색, crisis) - 직업과 가치관 선택에 고민과 갈등을 느꼈는가? 직업선택, 이념적 신념과 같은 개인적 정체성의 측면들에 도달함에 있어 의문을 제기하고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이다. 

2) 참여(전념, 몰입, 수행, commitment) - 주어진 역할과 과업에 몰입을 했는가? 직업선택과 이념적 신념에 있어서 확고한 결정을 하고 그 활동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전념이다. 

 

<정체감의 유형>

1) 정체감 유실(실패)

 -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지 않았지만 정체성이 확립된 것처럼 행동하는 단계로 남의 가치관을 그대로 따른다.

- 부모나 역할모델의 가치나 기대를 그대로 수용하며 기대에 부응하도록 노력하며 겉으로는 안정적이나 뒤늦게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기도 한다. 

- 특징은 권위에 맹종하는 것이다. 사회적인 인정의 욕구가 강하고, 부모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부모의 과업을 물려받거나, 일찍 결혼하여 안정된 결혼을 꾸려 나가는 경향이 있다.

- 목표의식이 뚜렷하고 안정적이지만 , 목표달성이 좌절될 경우 자기 존재 자체를 송두리 째 무가치한 것으로 여길 수 있다. 

 

2) 정체감 성취(확립)

 - 스스로 분야를 탐색하고 참여하여 목표를 성취해 정체성을 확립한 단계로 삶의 목표를 능동적으로 선택한다.

-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며 성인기 이후에 건강한 삶의 기반이 된다. 

- 특징으로는 삶의 방향이 분명하고, 자존감이 높으며, 현실적이고 안정감 있는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도 높다 

 

3) 정체감 혼미

 - 정체성을 찾으려고 노력을 하지 않는 단계로 가치 있는 활동에 전념을 하지 않는다.

- 특징으로는 삶의 방향감이나 뚜렷한 목표도 없고, 어떤 일을 하더라도 왜 하는지 모르고 충동적이다.

- 자존감이 낮으며, 혼돈과 공허감에 빠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 상태가 지속되면 부정적 정체성에 빠질 위험이 있다. 

- 주로 청소년 초기에 나타나며 그대로 방치하면 부정적 정체성에 빠질 수 있다.

- 사회적 가치에 반대적인 태도를 자신의 것으로 수용하여 드러내며 부정적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4) 정체감 유예(모라토리움)

-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고 정체성 확립을 위해 노력하는 단계로 적극적으로 정체성을 탐색한다.

- 자신에 대해 알고자 노력하지만 과업에 전념은 하지 못하며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건강한 현상이다. 

- 특징으로 여러 가지 대안을 탐색하지만 자신의 역할이나 과업에 몰두하지 못한다. 또한 안정감은 없으나 다양한 역할과 정체성을 실험하며 적극적으로 정체성을 탐색한다. 정체성 성취와 함께 건강한 상태로 간주된다. 

 

<자아정체감을 높이는 방법>

교사측면으로 교사의 솔선수범을 볼 수 있다. 청소년기 가장 중요한 관계는 교사이기 때문에 교사의 언행은 매우 중요하다.

잘못된 모델링을 하지 않도록 교사는 항상 신경을 써야 한다. 또한 학습자 개개인의 자아정체감 지위를 파악하고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여 자아정체감을 발달시켜야 한다. 

학생측면으로 올바른 또래집단 문화의 형성이 중요하다. 12~18세의 중요한 관계는 또래이다. 올바른 또래집단 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려와 관심, 선택의 기회, 다양한 시도, 도움과 격력에 신경 써야 하며 무시나 야단을 쳐서는 안 된다.

또한 자신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자신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교육방법의 측면으로 정체성 교육을 위해선 학생들이 직접 자신의 인생에 직면해 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지식교육보다는 실제적, 맥락적 교육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사는 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제공해야 한다.

 

<2005년 초등 임용>

정체감 위기를 경험하지 못했다.
삶에 대한 방향감이 결여되어 있다.
어떤 일을 하더라도 왜 하는지 모른다.
타인들이 어떤 일을 왜 하는지 관심이 없다. 

위에 있는 내용은 정체감 상태중 정체감 혼미에 대한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