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야기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by 굑학 2023. 6. 16.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가 제안한 지능의 개념으로, 사람들이 여러 가지 형태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입니다. 가드너는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초기에는 7가지 지능을 제안했지만, 나중에 2가지를 추가하여 총 9가지의 다중지능을 설명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다중지능은 사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배우고 지능을 발휘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의 시사점>

  1. 교육목적: 잠재력과 적성계발을 강조하며 지능은 개인차가 있으며 단일영역이 아니라 9가지 영역이 존재한다고 하였습니다.
  2. 교육과정: 9가지 지능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9가지 지능을 통합한 통합교육을 통해 인지적 교육뿐만 아니라 정의적, 행동적 영역까지 고루 발달시킬 수 있는 전인교육이 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3. 교육방법: 지능의 영역이 다르면 학생들의 지능도 모두 다르므로 학생 정보를 파악해 개별 프로젝트 수업 같은 개별화 교육을 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4. 교육평가 : 지능은 사회, 문화적 환경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흥미를 끌어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수행평가가 요구됩니다.

<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의 종류 >

  1. 언어-언어적/언어학적 지능 (Linguistic-Verbal Intelligence) : 언어와 단어에 대한 이해와 표현 능력입니다. 이러한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언어적으로 능숙하며 글쓰기, 말하기, 읽기 등의 활동에서 뛰어날 수 있습니다. 직업인으로는 시인, 언론인 등을 들 수 있습니다.
  2. 논리-수리적 지능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 논리적인 사고와 수리적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이러한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추론, 패턴 인식, 문제 해결 등에서 뛰어날 수 있습니다. 직업인으로는 과학자, 수학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3. 시각-공간적 지능 (Visual-Spatial Intelligence) : 시각적 정보의 인식과 공간적 사고 능력입니다. 이러한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그림 그리기, 공간 구성, 지도 작성 등에서 뛰어날 수 있습니다. 직업인으로는 항해사, 미술가 등을 들수 있습니다.
  4. 음악-리듬적 지능 (Musical-Rhythmic Intelligence) : 음악과 리듬에 대한 이해와 표현 능력입니다. 이러한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음악을 연주하거나 작곡하는 등의 음악적 활동에서 뛰어날 수 있습니다.
  5. 몸체-운동적 지능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 신체의 움직임과 동작을 통한 학습과 표현 능력입니다. 이러한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운동, 춤, 스포츠 등에서 뛰어날 수 있습니다.
  6. 자연-환경적 지능 (Naturalistic Intelligence) : 자연과 환경에 대한 이해와 관찰 능력입니다. 이러한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동물, 식물, 지리 등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직업인으로는 사냥꾼, 과학자 등을 들수 있습니다. 
  7. 대인-사회적 지능 (Interpersonal Intelligence) : 다른 사람과의 관계 구축과 이해 능력입니다. 이러한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직업인으로는 치료사, 세일즈맨 등을 들 수 있습니다. 
  8. 자기-인지적 지능 (Intrapersonal Intelligence) :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인지 능력입니다. 이러한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자기감정과 목표를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9. 감각-운동적 지능 (Kinesthetic Intelligence) : 감각과 운동을 통한 학습과 표현 능력입니다. 이러한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감각적인 활동이나 신체적 활동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고 표현합니다.

<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의 수업도입 전략 >

유능한 교사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므로 다양한 도입방법을 사용하여 학생의 흥미를 유도해야 합니다.

서술적 도입 전략으로는 주제와 관련된 이야기를 제시해야 하며 논리적 수학적 도입전략에는 주제에 수학적 논리적인 사고를 적용해 얻을 수 있는 주제를 제시해야 됩니다. 또한 심미적 도입전략에는 주제에 감각적, 예술적 사고를 적용하고 경험적 도입전략에는 주제와 관련된 연구를 할 수 있는 실험 등의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대인 관계적 도입 전략에는 타인과 함께 주제를 학습하며 실존적, 기본적 도입전략으로는 주제의 본질에 대한 절학적 질문을 제시해야 합니다.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의 결론 > 

이러한 다중지능은 사람들의 개인적인 강점과 흥미를 반영하며, 각각의 지능은 서로 독립적이지만 상호 연결되어 통합적인 학습과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중지능 이론은 교육에서 다양한 학습 방법과 평가 방식을 도입하여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강점에 맞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2019년 중등 문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관점에서 A, B학생의 공통적 강검으로 파악된 지능의 명칭과 개념, 김 교사가 C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개별과제와 그 과제가 적절한 이유에 대해 각 1가지씩 제시하시오. 

평소에 A 학생은 언어능력이 뛰어나고 B학생은 수리 능력이 우수하다고만 생각했는데, 오늘 모둠활동에서 보니 다른 학생을 이해하고 도와주면서 상호작용을 잘 하는 두 학생의 모습이 비슷했어. 이 학생들의 특성을 잘 살려서 모둠을 이끌도록 하면 앞으로 도움이 될 거야. 그런데 C 학생은 모둠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자신의 감정과 장단점을 잘 이해하는 편이야. C학생을 위해서는 자신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개별 과제를 먼저 생각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