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야기24 메타인지 이론 이란? 메타인지는 개인이 자신의 인지 과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설명하는 심리학적 이론이다. 1. 기본개념 - 자신의 인지 과정을 스스로 점검 및 조절하고 통제하는 활동이다. - 메타는 자기 자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이 자신의 인지 활동에 대해 생각하고 이해하며 그에 따라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을 가리킨다. 2. 메타인지의 요소 - 자기 감시(self-monitoring) : 개인이 자신의 인지적 활동을 주시하고 관찰하는 능력을 말한다. 즉자신의 생각, 행동, 감정 등을 주시하고 이해하며 문제가 발생 시 어떤 요인들이 그것에 기여하는지 인식한다. - 자기 평가(self-evaluation) : 개인이 자신의 인지적 능력과 성과를 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것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인식하고 자기에 대해 .. 2023. 8. 8. 당신은 왜 나를 괴롭히는가 작가: 에린 K. 레너드 지음 옮김 : 박지선 내 몸과 정신을 파괴하는 사람들을 끊어 내는 법 1장 나를 괴롭히는 사람은 누구인가! (투사와 투사적 동일시) "투사"는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 욕망, 인격적 특징 등을 다름 사람에게 덮어 씌어 그 사람이 그런 자질을 가지고 있다고 굳게 믿는 방어기제를 말한다. 무의식적인 행동의 뿔에 자리 잡은 핵심 정서는 " 증오"이다. 자신의 불안을 타인에게 내보내는 데 성공한 투사자는 안심하게 되고 관계에서 약점이 더 많은 쪽이 "수용자"라고 생각한다. "수용자" 사람들의 기분을 잘 맞춰주고 자나치게 꼼꼼하다는 평을 많이 듣는다. " 투사자가 수용자에게 무의식 중에 보내는 유해요인" 유해요인은 원래 투사자의 것이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자아가 무너지지 않도록.. 2023. 7. 25.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 스키너(1904~1990)는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로서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과 함께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대표한다. 1. 기본개념 - 인간이나 유기체는 스스로의 의지를 지닌 존재이며 어떤 효과를 내기 위해 능동적인 행동을 한다. - 능동적인 행동의 결과에 따라 특정행동의 빈도가 증가되거나 감소해 학습이 일어난다는 이론이다. 2. 강화의 유형 - 강화란 특정행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 강화는 자주 주어야 하며 반응 후에 즉시 주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한 행동 할 때에만 주어야 한다. - 정적 강화 : 행동 후에 보상을 제시하여 강화하는 것 - 부적강화 : 행동 후에 불쾌한 자극을 제거하여 강화시키는 것 3. 벌 - 벌은 특정 행동의 발생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 벌은 행동 후 즉.. 2023. 7. 14. 행동주의 학습이론 (파블로프의 고전전 조건화 이론) 파플로프는 1849년~1936년 사이에 러시아의 생리학자로 중립자극과 무조건 자극을 결합시켜 유기체에 제공하여 조건자극만으로도 조건반응을 유발하는 수동적 조건형성 이론으로 고전적 조건화 이론을 주장하였다. 1. 중립자극, 무조건자극, 무조건 반응의 의미- 중립자극 : 처음에 행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예 : 개가 종소리를 들으면 처음에는 반응이 없다.) - 무조건적 자극 : 고기를 주면 본능적으로 생리적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 - 무조건적 반응 : 무조건적 자극에 의해 개는 고기를 주면 침을 흘린다. 2. 조건자극, 조건반응의 의미- 조건자극: 처음에 종소리는 중립자극이었다가 무조건적 자극인 고기를 줌으로써 형성된 자극 - 조건반응: 조적자극에 의해 학습이 된다.(종소리만 듣고도 침을 흘.. 2023. 7. 13.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