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이 최고

일본에 덮친 "매독" 우리나라는?(매독 증상,합병증,치료,예방 )

by 굑학 2023. 8. 18.

최근에 일본에 매독의 증가추세가 심상치 않다. 또한 엎친데 덮친 격으로 매독을 치료할 수 있는 의료진의 부족으로 인하여 의료붕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일본에 덮친 매독 우리나라는? 어떤 상황인지 알아보며 매독의 증상, 합병증, 치료, 예방법 등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 또한 일본으로 여행객의 숫자가 증가하면서 매독이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매독이란? 

 

- 매독은 성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성매개감염병이다. 

- 매독균의 전파는 성관계에 의해 주로 전파된다.

- 모체에서 태아에게로 전파되는 경우도 있다. 

** 화장실 사용, 문손잡이, 수영장, 욕조, 식기 등을 통해서는 전파가 되지 않는다. 

 

매독증상,합병증,치료,예방 매독증상,합병증,치료,예방

 

매독의 원인균과 전파경로 

 

- 매독은 스피로헤타과에 속하는 세균인 트레포네마팔리튬 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매개 감염병이다.

- 전파경로는 구강,질,항문성교를 통해 매독에 의한 궤양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 감염위험은 궤양이 있는 1기에 전염될 위험이 가장 높지만 매독잠복기에도 전염될 수 있다.

 

매독증상,합병증,치료,예방매독증상,합병증,치료,예방

매독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나나타나나? 

매독은 병기에 따라 특징적인 증세를 보인다.

 

 

- 제1기 매독 

: 잠복기 9~90일

: 특징적인 증상- 경성하감 (단단하며 경계가 분명하며 통증이 없다 / 성기부위에 많이 생김)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아도 저저롤 아물게 된다. 

 

-2기 매독

: 6~8주 지나면 피부나 점막에 여러 형태의 발진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 특징- 전신적으로 증상이 올수 있다.(두통, 고열, 인후통, 임파선비대등)

: 장미진 - 발진이 피부나 점막에 나타나는 시기 

: 림프절 종대, 편평콘딜로마 

: 수개월이 경과하면 저절로 사라지게 되나 3기 매독으로 발전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 잠복기 매독

: 2기 매독증상이 모두 없어진 시기

: 혈액검사에서는 매독양성으로 나옴 

: 수개월동안 지속 또는 일생동안 지속 가능 

 

-3기 매독(감염 후 3년이 지난 시기)

: 약 2년에서 30년 후에 시작된다.

: 고무종: 피부밑에 콩알만한 크기에서 나중에 덩어리가 만져지며 마치 고무와 같이 눌러도 아프지 않다 

: 고무종은 후에 퐈괴되어 궤양으로 변하며 재발도 하며 섬유종으로 흔적을 남기기도 한다.

: 심혈관 매독, 신경매독으로 심한 경우 사망한다. 

: 이 시기에 치료를 받으면 매독이 더 이상 진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나 원래 상태로는 회복이 불가능하다.

 

매독증상,합병증,치료,예방매독증상,합병증,치료,예방

-선천성매독

: 태아가 산모로부터 감염 됨

: 생후 4개월 이후에 감염된다

: 사산, 조산될 가능성이 높고

: 신생아는 눈의 각막염, 귀의 난청, 치아의 허드슨치아 등의 증세가 보인다. 

매독의 치료법은? 

- 매독 단계에 따라 결정된다.

-1기, 2기, 초기잠복매독의 경우 : 페니실린 주사

- 후기 참복매독: 중추신경 침범 없을 경우 일주일에 한 번씩 페니실린 주사 3주간 실시

- 뇌척수액 침범 시: 페니실린 정맥주사로 치료한다. 10~14일간 

 

매독을 예방하려면? 

- 가장 확실한 방법은 성적인 접촉을 피하는 것이다.

- 모든 임산부는 반드시 매독 혈청검사를 받아야 한다. 

- 성관계 시 콘돔 사용은 감염 확률을 줄인다.

 

매독증상,합병증,치료,예방매독증상,합병증,치료,예방

 

매독은 발병 후 자연치유가 됐어도 매독균은 남아있으므로 성관계는 반드시 피해야 하며 치료 중에는 성접촉을 피해야 한다. 또한 파트너도 혈액검사가 필요하며 함께 치료를 받아야 한다.

부적절한 성관계는 항상 성병에 노출된다는 것을 꼭 기억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