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다면 정말 많이 당황스럽고 놀랄 수밖에 없는데요. 혈액검사로 매독검사를 했을 때 매독검사 양성이라면 앞으로 해야 할 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래내용을 통해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 우선 매독으로 의심되는 상황을 걱정하게 된다면
걱정만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증상이 있던지 없던지 반드시 큰병원에 가서 확실하게 검사를 해야 합니다.
또한 필요하면 치료까지 받아야 합니다.
90일 이내에 매독환자와 성접촉이 있었다면 반드시 병원에 가서 근육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또한 내가 매독환자로 진단을 받았다면 성접촉이 있었던 사람들에게 연락하여 근육주사를 맞도록 해야 합니다.
한번 치료를 하게 되면 금방 치료가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크게 고생을 할 수도 있습니다.
2. 매독균은
나선형으로 생겼습니다.
영어로는 Treponema palidium을 매독균이라고 부릅니다.
접촉경로는 성접촉으로 전파가 됩니다. 다른 방법으로 전파가능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성접촉입니다.
2000년도까지 감소했지만 그 이후 음성적인 성매매와 동성연애, 에이즈 등의 발생 증가와 함께 다시 증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3. 매독을 치료하지 않고 내버려 두면
- 23%는 사망이나 영구 신체손상이 있습니다.
- 13%는 심장의 손상
- 10%는 뇌와 척추 손상을 가져옵니다.
감염병은 치료하면 끝이지만 매독의 경우 치료를 하지 않으면 합병증이 심각하게 올 수 있습니다.
4. 1기 매독은 모르고 지나치기 쉽습니다.
경성하감(chancre)의 증상을 보입니다.
경성하감은 단단하고 둥근 조직이 생식기에 나타나며 보통은 1개 또는 간혹은 여러 개로 존재합니다.
경성하감은 통증이 없습니다. 그러나 경성하감 병변에 매독균이 있습니다.
경성하감은 언제 발생하나요?
- 매독균에 감염이 된 수 3~90일 경과 후에 발생을 하며 평균 3주 정도 걸립니다.
경성하감 발생 시 통증이 있나요?
- 통증이 없습니다 따라서 모르고 지나칠 수 있습니다.
- 또한 이 궤양은 한 달 정도 지나면 자연적으로 좋아집니다.
- 그러나 호전이 되었다고 매독이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1기 때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게 된다면 2기 매독으로 진행됩니다.
5. 2기 매독으로 진행되면 매독균이 혈액을 타고 전신에 퍼지게 됩니다.
경성하감이 생성 후 4주 후부터는 매독균이 증식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전신으로 퍼져서 2기 매독이 됩니다.
전신으로 매독균이 퍼지게 되므로 혈액에 많은 수의 매독균이 존재하는 상황이 되고 맙니다.
증상으로 전신에 피부발진이 나타나는데 특징적으로 손바닥과 발바닥에 붉은 반점이 나타납니다.
전신을 매독균이 침범하게 되므로 다양한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열, 오한, 체중감소, 인후통, 관절통, 백혈구의 증가. 비장이 커지는 비장종대. 간의 염증인 간염
뇌막염 등이 나타납니다.
2기는 전염력이 강하고 모든 매독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오므로 격리해야 합니다.
6. 잠복매독은 무증상입니다.
혈액검사를 했는데 매독 양성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2기 매독일 때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에 잠복기로 들어갑니다.
증상이나 신체적인 증상이나 징후가 사라지면서 감염력도 저하됩니다.
이때 잘 잡아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기 매독 후 70% 정도는 계속 잠복매독 그리고 30%는 3기 매독으로 진행됩니다.
무증상이지만 매독이 한번 생기면 자연적으로 완치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7. 3기 매독은 내부장기에 손상을 줍니다.
3기 매독은 중요한 내부 장기 신경, 심장, 혈광등에 손상을 줍니다.
신경매독으로 두통이나 뇌막염, 성격이 변화가 어지럽고, 치매와 운동의 실조등을 보입니다.
심혈관매독으로는 대동맥류와 대동맥판막이역류되며 심장의 혈관인 관상동맥구협착증을 보입니다.
고무종으로 궤양성 괴사를 일으키는 양성 종양을 일으킵니다.
8. 90일 이내에 매독환자와 성접촉이 있는 경우
- 매독혈청 검사와 관계없이 Penicilln으로 치료를 해야 합니다.
- 근육주사 1회 - benzathine penicillin G IM 240만 U 1회 주사 맞으면 됩니다.
문제는 이 주사가 모든 병원에 다 있지 않습니다.
감염내과 있는 병원에는 대부분 주사가 있으므로 감염내과에 방문을 권장합니다.
9. 매독의 진단은 생각보다 상당히 복잡합니다.
검사방법도 여러 가지이며 해석도 까다롭습니다.
매독의 치료를 위한 페니실린은 보통 큰 병원에 가야 있습니다.
또한 페니실린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과민반은 에 대처할 만한 병원인 큰 병원, 감염내과에 가야 되는 것입니다.
매독이라는 병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매독검사에 양성이 나왔다면 무시하지 않아야 하며 큰 병원에 가서 근육주사를 꼭 맞으시길 바랍니다. 이상은 유튜브 기역에서 내용을 참조하였습니다.
< 매독관련 다른글 보기 >
- 매독초기증상, 매독검사비용. 매독치료비용 확인하러 가기
'건강이 최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쏘팔메토, 쏘팔메토 옥타코사놀, 유유제약 쏘팔메토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4.11.05 |
---|---|
갱년기 관절통을 극복하려면 이것을 하시면 됩니다. (0) | 2024.10.21 |
50대 이상 무릎이 아픈 이유 , 무릎통증 해결법, 관절에 좋은 영양제 확인 (0) | 2024.08.30 |
중년! 이 운동 하면 살 잘빠집니다. 살 잘빠지는 운동, 살 많이 빠지는 운동 확인 (0) | 2024.08.27 |
족저근막염 신발,슬리퍼 BEST 5 추천 (0) | 2024.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