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르시시스트, 이런 사람이 나르시시스트 입니다.

by 굑학 2025. 2. 14.

나에게 중요한 배우자, 애인, 부모, 형제 등 매일 만나야 되는 직장 동료등과의 어려운 대인관계를 보일 때

과연 상대방이 나르시시스트는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나르시시스트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1. 갈등의 문제는 누구 탓? 

 

  • 나르시시스트들의 특징이 강한 사람과 같이 있게 되면 잘못된 원인은 상대방 탓이라고 생각하게끔
  • 잘 조종을 합니다.
  • 나르시시스트들이 상대방을 조종하기 위해 쓰는 대표적인 방법은 가스라이팅입니다.

 

당신 탓이 아닙니다. 부당하게 본인 탓으로 돌렸던 부분이 실제로는  내 탓이 아니었고 나르시시트가 상대방의 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극심한 고부간 갈등

통제적인 부모

방임이나 아동학대 등이 나르시시즘과 연결됩니다.

 

남녀사이에서는 데이트 폭력. 외도

직장 내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 성희롱이 나르시시트적인 이슈랑 연구가 많이 되어 있습니다.

 

더 크게 사회에서는 갑질, 인종, 성별, 악플러 우리가 흔히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라고 생각하는 부분 중에서

나르시시스트가 상당히 많다.

2. 나르시시스트는 어떤 사람인가?

 

나르시시스트라는 큰 개념 안에서 자기애성 성격장애 환자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르시시스트는 어떤 강도로든 주위 사람들한테 고통과 피해를 초래하는 사람들이며

그중에서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병적인 수준의 성격적인 결함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3. 나르시시스트 특징들

건강하지 않은 자기애를 지니고 있습니다.

 

나르시시스트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특성들 (공통적인 특성)

  • 공감능력이 손상되어 있고 
  • 자기가 다른 사람들보다 낫다는 우월감
  • 자기의 능력이나 자기의 성취에 대해서 과대하게 생각하는 과대성 
  • 자기중심적이고 대인관계를 굉장히 피상적으로 맺어서 자기 필요가 충족될 만큼만 관계 양상을 맺음
  • 정서적인 교류가 잘 되지 않습니다.
  • 관심의 중심이 되려고 과하게 노력하며 다른 사람들한테 찬사를 받는 것을 굉장히 중요시하게 생각하며
  • 질투심이 굉장히 과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 분노감등의 정서조절이 안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나르시시스트들은 분노조절이 잘 안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정도차이가 나는 나르시시스트들의 특징 

  • 죄책감을 잘 안 느끼며 
  • 착취적이고
  • 다른 사람을 조정을 잘하고
  • 편집증적이며
  • 보복적이며
  • 선 넘는 행동을 잘하며
  •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이 없는 특성들이 나르시시슽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4. 나르시시스트들은 죄책감을 못 느끼지만 수치심은 느낍니다.

수치심은 느끼지만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고

남들이 날 무시하면 수치심을 느끼나 내가 잘못했다는 후회가 없습니다.

죄책감은 우리가 스스로 느껴서 행동을 제어하는 건데 

수치심은 내 잘못을 다른 사람들이 알아서 부끄러운 차이가 있습니다.

즉 

수치심이 더 원초적으로 수치심이 더 성숙해져서 죄책감이 드는 것으로 아직 성숙이 안된 것입니다.

 

 

건강하지 않은 나르시시즘은 누구나 다 있는데

그런데 나르시시스트들이 아닌 보통사람들은 건강한 측면이 건강하지 않은 측면보다 훨씬 더 많이 있습니다.

나로 인해서 나의 주의 사람들이 피해와 고통보다는 행복감을 많이 느낀다면 충분합니다.

 

5. 자기의 문제나 결함에 대해 인지하고 변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고

본인의 결함을 감추기 위해 주위사람들에게 고통과 큰 피해를 주는 사람들입니다.

나를 힘들게 하는 인간관계는 대부분 나르시시스트일 가능성이 높다

그 상대방의 정체를 아는 것만으로도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열쇠를 주기도 합니다.

상대가 나르시시스트란 것을 몰랐을 때는 많이 힘들어합니다.

 

6. 왜 나르시시스트들은 주변사람들에게 적대적인 특성을 보이는가?

도대체 왜 그러는 걸까?

나르시시스트들의 심리의 핵심은 불안정한 자존감과 정체성입니다.

불안정한 자존감과 정체성을 왜곡되게 보완하고 가리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본인의 큰 결함을 다른 사람들로부터 심지어 나 자신으로부터 숨기기 위해 딱딱한 껍질을 만들어 놓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고슴도치가 자기보호하기 위해서 가시를 세우듯이 내면자체는 매우 약해서 남을 공격하는 것입니다.

 

7. 건강한 정체성을 가진 사람의 특성은

- 나 자신의 개별적인 개체로 봅니다 다른 사람과 나와의 경계가 뚜렷합니다.

내문제를 상대방한테 투사해서 상대방의 문제인 양 여기지 않습니다.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을 다 같이 인지하는 것입니다.

 

8. 나르시시스트들이 굉장히 많이 쓰는 방어기제?

투사입니다.

  • 남을 비난 자체가 본인이 스스로한테 갖고 있는 어떤 생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그러나 그거를 인지를 못하고 나쁜 거는 내가 아니고 너이다
  • 나는 좋은 면만 있고 나쁜 건 너한테 있다.
  • 네가 잘된 것도 내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9. 인격적으로 통합이 안 되는 사람들입니다.

보완하려고 과대하고 우월하고 거만하게 하여 껍데기를 만들어 냅니다.

 

오히려 객관적인  나를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자존감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나르시시스트들은 자기 객관화 능력에 결합이 있다는 것입니다.

외부 환경에 따라서 극단적으로 좋은 사람이 되었다가 안 좋은 사람이 되었다가 합니다.

 

다른 사람의 반응을 통해서만 자존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나 어떤 환경에 의해서 내가 잘났다는 우월하다는 신호가 없으면 자존감의 바닥에 떨어집니다.

남들이 나를 우러러보고 본인이 잘났다는 믿음을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 주위 사람들을 사용합니다.

 

그 사람들이 피해를 보고 안 보고가 중요하지 않으며 내가 우월하고 과대하다는 믿음만 유지할 수 있으면 상대방의 피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상 정신과의사 원은수 의사의 영상을 참조하였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